정부가 전북특별자치도 전·완주(완·전주) 통합과 관련해 비공식 여론조사를 해본 결과 반대여론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취재 결과 알려졌다.
23일 본보가 정치권 등에 대한 취재를 종합해보면 지난 9월 25일 실시된 6자회담 이후 모 기관의 전·완주 통합 비공식 여론조사 결과 반대:찬성 여론이 6:4로, 반대여론이 좀 더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.
이에 따라 이재명 정부 들어 지자체 통합 첫 사례로 전·완주 통합 논의는 정치적 부담감을 안고 있기에 당분간 수면 아래로 내려보낼 것으로 파악된다.
특히 도내의 복잡한 정치 지형과 지역내 심각한 갈등 양상을 감안할 때 조속한 결론은 사실상 물 건너갔고, 결과적으로 추진 일정 등을 고려하면 내년 지선 이후에 추진될 것이란 예상이 정치권을 중심으로 퍼지고 있다.
이에 현 정부 지자체 통합 논의 1순위는 주민 주도의 찬성 여론이 높은‘진천·음성’이 될 것으로 정치권은 보고 있다.
혁신도시를 공유하면서 최근 논의가 시작된 행정구역 개편 여론조사에서 진천군은 61.6%, 음성군 62.8%로, 두 곳 모두 행정구역 통합에 찬성한다고 답변했다.
현 정부 통합 관련 정책 기조는 해당 지역주민 의견과 결정을 가장 우선순위에 놓으면서도, 진천·음성 지자체를 통합 1호 지자체 사례를 올려놓을 것으로 정치권은 보고 있다.
이를 기반으로 타 지자체 통합에 대해 ‘찬성’ 여론을 조성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정치권은 판단하고 있다.
이 때문에 전주완주 통합 주민투표는 연내는 물론 내년 지선 이전에 해법 찾기가 어려워 보인다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.
앞선 11일 이돈승 김대중재단 전북 완주군 지회장은 “전주·완주 통합과 관련해 모 기관은 즉시 여론조사 결과를 공개하라”고 촉구한 바 있다.
이 지회장은 이날 입장문에서 “통합 관련 6자 회담에서 주민투표 권고 여부를 모 기관에 일임했지만 10월 31일을 넘긴 지금까지 아무런 입장을 내지 않은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”라고 비판했다.
